토정비결에 대한 궁금한 이야기
토정비결은 조선 선조 때의 학자 토정 이지함 선생의 도참서(도참서 : 미래의 일은 예견하는 책 또는 예견하는 데 사용되는 책)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은 1년 12개월 각각의 신수를 판단하는 일종의 술서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12월이 되면 다음 해 나에게 어떠한 일이 일어날지 궁금하기도 하고 그에 대한 대비도 하는데요. 오늘은 24년의 토정비결과 토정비결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를 공유코자 합니다.
1. 토정비결 구성
토정비결은 개인의 사주(四柱: 태어난 연, 월, 일 , 시)중에서 태어난 연, 월, 일, 이렇게 세 가지를 기준으로 해서 육십갑자(六十甲子)를 이용하여 1년 동안의 운세를 12개월로 나누어 볼 수 있는 방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1.1. 주역과 토정비결의 차이점
앞에서 언급을 하였지만 주역과 토정비결은 보는 관점과 사용방법의 차이가 있습니다. 주역은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네 가지 변수를 이용하여 64괘(掛)를 만들어서 인간의 덕(德)에 중심을 두는 반면, 토정비결은 생시를 제외한 생년, 생월, 생일의 세 가지 변수로 48괘(掛)를 만들어 48괘만을 사용하여 인간의 길흉화복(佶兇禍福)을 그 중심에 두고 있습니다.
1.2. 토정비결의 작괘
토정비결의 괘는 세 자리 숫자로 이루어 있습니다. 상괘는 백단위수를, 중괘는 십단위수를, 하괘는 일단위수를 말합니다.
- 상괘(백단위 수) : 1~8의 숫자가 기입됩니다.
- 중괘(십단위 수) : 1~6의 숫자가 기입됩니다.
- 하괘(일단위 수) : 1~3의 숫자가 기입됩니다.
이렇게 상괘 8, 중괘 6, 하괘 3을 조합하면 산출할 수 있는 괘는 총 144(8 ×6 ×3=144) 가지의 경우의 수를 갖게 됩니다.
예를 들어 상, 중, 하괘를 계산하여 541이라는 숫자가 나오면 5는 상괘, 1은 중괘를, 3는 하괘를 의미합니다. 괘를 계산하는 방법은 일반인들이 바로바로 계산하기에는 그 의미와 과정이 복잡해서 명확한 괘를 산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토정비결에 대한 상식적인 수준에서 알고 계시면 좋을 듯하네요.
2. 토정비결의 저자는 이지함이 아니다?
과연 토정비결의 저자는 누구일까요?
아마도 토정비결은 이지함 선생의 호가 '토정'이라서 그를 저자라고 흔히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인정하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는 이지함 선생이 죽고 난 후, 한참이 지난 후 토정비결이 등장하게 되는데 그 간격이 너무 넓어 이지함과 토정비결과는 그 상관관계가 없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아울러 이지함의 집안(고려, 목은 이색의 후손)이 전통적인 성리학을 기본으로 내려온 것으로 보아 비록 이지함이 도학, 양명학에 관심을 가졌지만 도참서를 집필했다는 것은 황당한 주장일 것입니다.
학계에서는 토정비결이 나온 시기와 저자를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다만 토정비결 책의 제목에 토정 이지함 선생의 호가 있어서 저자라고 흔히를 알고 있는 것 같습니다.
3. 토정비결에 대한 신뢰
토정비결은 '태어난 연월일'에 근거하여 이미 정해진 대로 인생이 정해져 있다는 사상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거의 '운명론'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년, 동월, 동시에 태어난 사람들은 모두 같은 운명을 갖고 태어난 것이라는 말도 안 되는 모순에 빠져 버리게 됩니다.
모든 사람들은 자유의지가 있습니다. 개개인적으로 부모에게 물려받는 선천적인 것도 있겠지만, 사회에 적응하는 하나의 일원이기 합니다. 검증이 불가능한 자신의 미래에 대해 토정비결의 결과를 맹신한다는 것은 어쩌면 자신만이 가지고 있는 자유의지를 포기하는 결과를 낳을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토정비결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일종의 악센트를 줄 수 있지만 인생의 지표로 가져가는 것은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마치며
연말연시를 통해 한해를 반성하고 분들이 앞으로 다가오는 새해의 계획을 세우시리라 생각됩니다. 토정비결을 통해 내년이 좋을 수도, 좋지 않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토정비결은 연말연시를 맞이하면서 내려오는 일종의 풍속으로 담아두시고 새해에는 내가 주인공이라는 마음으로 기분 좋은 새해를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카타르 아시안컵 대한민국 경기일정, 중계 (0) | 2024.01.02 |
---|---|
아시안컵 재미있게 보려면? 관련 정보 완벽 정리 (2) | 2023.12.29 |
23년 부산불꽃축제 일정 및 꿀팁정보 (1) | 2023.10.10 |
제주 4.3 사건 이해하기 (0) | 2023.04.02 |
맥시멀리즘(Maximalism) 장점, 수용하는 팁 (0) | 2023.03.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