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이해하기
제주 4.3이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미군정기에 발생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 제주 4.3 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중에서
4월이 되면 제주 4.3 사건이 떠오르게 됩니다.냉전상황과 더불어 상반된 정치적 진영으로 나뉜 대한민국, 무리한 진압과정으로 인해 우익, 좌익 가리지 않고 죄 없는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던 정말 비극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오늘은 제주 4.3 사건에 대해 돌아보겠습니다.
아래의 내용은 제주 4.3 평화재단의 자료를 인용, 수정하였습니다.
1. 제주 4.3 배경 및 시작
제주도는 전통적으로 육지와 고립되어 독특한 문화와 삶의 방식을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제주도는 강제 노역과 착취의 대상이었으며, 한국이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후 미군정이 정권을 장악하면서 또다시 현지인들의 긴장과 불만은 더욱 커졌습니다. 아울러 1940년대 후반 한국의 정치는 미국과 소련으로 양분되는 좌파와 우파로 나뉘게 되며, 제주도는 좌파 성향이 강했습니다.
미군 기마경찰의 발포
1947년 3월 1일 제주도에서는 3.1절 기념행사가 있었는데 행사를 마친 후 주민들의 가두행사가 진행 중 미군정의 기마경찰의 말에 어린아이가 다치게 됩니다.
기마경찰은 다친아이를 그냥 두고 지나가게 되자 이에 흥분한 군중들은 항의를 하였고, 이에 경찰들은 진압이라는 이유로 주민을 향해 총을 발포하게 됩니다. 이에 주민 6명이 사망하게 되고, 제주사회가 요동하기 시작합니다.
민관합동 총파업의 시작, 진압, 서북청년회의 합세
비교적 큰 소요사건이 없었던 제주사회는 주민 6명이 사망한 3.1 사건에 항의하여 대규모의 민,관 합동 총파업을 시작하게 됩니다.
정부에서는 제주도를 붉은 섬(아마도 빨갱이 섬으로 상징되는)으로 지목하였으며 대규모 경찰을 대거 파견하였고, 극우청년단체인 서북청년회(서청) 단원들도 합세, 제주도의 행정체계 장악을 시작합니다. 그들은 빨갱이 사냥을 한다는 구실로 테러를 일삼아 민심을 자극시켰고, 이는 4,3 사건 발발의 한 요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당시 한반도는 분단의 위기에 봉착하고 있었으며 남로당 제주도당은 경찰과 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 단정 반대를 기치로 무장봉기를 일으키게 됩니다.
1948년 4월 3일, 무장한 남로당원이 제주도 경찰서를 습격하여 반란의 서막을 알리기에 이르렀습니다.
2. 제주 4.3의 경과
전국에서 5.10 선거를 반대하는 유혈사태가 이어지고 있었고, 정부는 성공적인 5.10 총선거를 치르기 위해 미군정과 제주 무장대와의 평화협상(4월 28일)이 성사되었습니다. 그러나 우익청년단이 제주읍 오라리 마을을 방화하는 소위 오라리사건이 발생하여 협상이 결렬되지만, 미군정에서는 오히려 오라리 마을의 방화사건을 제주 무장대의 방화로 몰아가기 시작하여 '평화적 협상'이 아닌 '무력에 의한 강경진압작전'으로 바뀌게 됩니다.
제주 무장대의 5.10 선거 무효를 위한 행동은 계속되었으며, 미군정은 제주 무장대를 남한만의 단독정부 수립을 저해하는 불순세력의 음모로 판단했습니다. 남한만의 단독수립정부는 남북 분단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미군정은 무리한 검거작전을 감행하며 6.23 재선거를 시도했으나, 결국 실패하고 결국 제주도에 대한 강경 토벌작전이 실시되어 도민들이 집단 희생되는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게 됩니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정부 수립 후, 제주도 사태를 진압하기 위해 강력한 진압작전을 펼치고, 대대적인 강경 토벌작전이 제주 전역을 휩쓸게 되는데요. 해안에서 5KM 이상 들어간 중산간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대로 간주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이 발표되고, 이때부터 군경토벌대는 중산간마을에 불을 지르고 주민들을 집단으로 사살하기 시작했습니다.
3. 연속된 비극
1948년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이 선포되고, 대대적인 강경 진압작전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미군정과 경찰, 우익들은 죄 없는 제주 주민들까지 무장대에 협조했다는 이유로 죽음을 당했으며, 폭도라 지목당하는 것만으로도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되었습니다.
하지만 학살은 군경토벌대만 저지른 것은 아니었는데요. 무장대들은 해안마을을 습격하여 경찰가족과 우익인사를 살해하고, 그 와중에 무고한 주민들도 상당수 희생되었습니다.
복수와 증오심. 복수는 복수를 낳았고 증오는 격한 충돌로 이어져 민간인들의 희생은 극에 달했다고 합니다.
1949년 3월 '산에서 내려와 귀순하면 과거 행적을 묻지 않고 살려주겠다'는 방침의 선무공작이 전개되어 한라산에 피신해 있던 1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하산했으나, 그 방침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또다시 총살 또는 감옥에 가게 되는 비극을 맞게 됩니다.
1949년 5월 10일 재선거가 치러졌고, 그해 6월 무장대는 사실상 해체되었습니다.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전국의 형무소 재소자들이 또다시 희생되었으며, 기나긴 수난의 세월을 보낸 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禁足) 지역이 전면 개방이 되었습니다.
마치며
1947년 3·1 주민 6명이 희생되는 미군 발포사건과 1948년 4·3 무장봉기로 촉발되었던 제주 4·3 사건은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 충돌과 토벌대의 진압 과정에서 2만 5,000~3만 명의 주민들이 희생되었습니다.
이것은 어쩌면 일제강점기 이후 냉전상황, 동아시아의 패권 경쟁, 한반도 분단체계의 고착화로 대한민국 국민의 집단 희생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는 4.3 사건의 진상규명, 화해와 치유의 과정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정비결에 대한 궁금한 이야기 (1) | 2023.12.24 |
---|---|
23년 부산불꽃축제 일정 및 꿀팁정보 (1) | 2023.10.10 |
맥시멀리즘(Maximalism) 장점, 수용하는 팁 (0) | 2023.03.26 |
영화음악의 거장, 존 윌리엄스를 알아봅니다. (0) | 2023.03.25 |
인생의 목표, 버킷리스트 쉽게 반드는 법? (0) | 2023.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