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물거래의 뜻, 역사, 특징

goodthinker 2023. 5. 9.

선물(先物, Futures)은 미래의 특정시기에 판매자가 구매자에게 물건을 넘겨준다는 조건으로 현재를 기준으로 가격을 미리 정하여 매매계약을 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지금 당장 매매하는 거래가 아니기 때문에 미래의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 아무도 모르지만, 여러 가지 동향 파악을 통해 어느 정도 예측은 가능합니다.

오늘은 경제 TV에서 많이 언급되는 선물거래의 개념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합니다.

선물거래화면

 

1. 선물의 역사

선물의 기원은 1637년도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네덜란드에서는 튤립 알뿌리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수확 전에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판매자와 구매계약을 했다고 하는데 일명 '튤립버블사건'이라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그 나름대로 선물시장의 형태를 적당히 갖춘 '도지마 쌀시장'을 들 수 있는데요. 매년 재배되는 쌀을 기본으로 하여 선물거래가 이루어졌습니다.

요즈음 같은 정형화된 선물 거래소 시장의 최초는 1848년 시카고에서 설립된 시카고상품거래소(CBOT)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 선물거래소는 1999년에 개장하여 지금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요즈음은 현물선물뿐만 아니라 주가지수선물, 외환선물 등 취급하는 범위가 점점 확대되었습니다.

  

2. 선물거래의 개념

선물 계약 시나리오

5/31일 쌀 20kg를 5만원에 구매하기로 5/1일 계약하였습니다.
Case 1 : 5/31일 쌀 20kg의 시장가격이 8만원으로 상승했지만 계약대로 5만원에 인도되었습니다.
Case 2 : 5/31일 쌀 20kg의 시장가격이 3만원으로 하락했지만 계약대로 5만원에 인도되었습니다.

 

선물계약은 취소가 불가능하여 5/31일이 도래하면 시장가격이 상승하락여부에 관계없이 무조건 5만원의 가격으로 인도됩니다.

2.1. 구매자의 입장

Case 1 : 시장가격 8만원짜리를 5만원에 구입을 했으니 3만원의 이익 실현

Case 2 : 시장가격이 3만원짜리를 울며 겨자 먹기로 어쩔 수 없이 5만원에 구입하게 되어 2만원의 손실

2.2. 판매자의 입장

Case 1 : 시장가격이 8만원이 되었으나 어쩔수 없이 5만원에 넘겼으니 3만원 손실

Case 2 : 시장가격이 3만원이 되었더라도 계약대로 5만원에 넘겼으니 2만원 수익

 

선물이 주식보다 더 위험한 이유

주식이나 선물은 결과를 놓고 보면 수익, 손실의 규모가 비슷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수, 매도의 강제성과 함께 고려해 보면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주식은 매수와 매도타임을 주주 마음대로 정할 수 있어서 위험요소를 미리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물의 경우는 계약이 완료되면 좋든 싫든 무조건 계약된 금액으로 거래를 진행하기 때문에 수익이 발생할 경우는 관계없지만 큰 손실이 예상되는 경우 이를 방지할 방법이 없습니다.

 

옵션거래 개념, 핵심 포인트

주식시장과 더불어 또 하나의 축을 이루는 것은 선물(Futures)과 옵션(Option) 시장입니다. 주식은 선물, 옵션은 일반 주식과는 달리 '미래의 가격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시장이라 볼 수 있는데, 선물

goodthinkinglife.tistory.com

 

3. 선물거래의 특징

3.1. 계약이행에 대한 보증

과거 선도거래인 경우는 계약만기일에 어느 한쪽에서 계약을 미이행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그만큼 이익이 크기도 했지만 손실도 그만큼 크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좀 더 정형화되고 공식적인 거래방법이 출현하면서 이제는 체계회된 청산소를 통해 거래를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청산소는 구매자와 판매자의 일방적인 계약파기를 없애기 위해 선물거래 계약이행에 대한 보증을 해주고 있습니다.

3.2. Zero-Sum

주식인 경우 가격이 오르면 모든 사람에게 이익이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그러나 선물거래인경우 한쪽에서 이익이 발생할 경우 다른 한쪽에서는 동일한 금액의 손실이 발생합니다.(구매자 Case 1 이익 =  판매자 Case 2 손실)

3.3. 증거금

선물은 미래의 가격을 전제로 계약을 하기 때문에 현재 거래하고자 하는 전체금액이 필요 없으며 일부금액(증거금을 납입)으로 계약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런 증거금은 케이스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선물거래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엔 옵션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댓글


네이버 애널리스틱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