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증권형 토큰, STO는 무엇인가?

goodthinker 2023. 3. 20.

증권형 토큰(STO)이란 Security Token Offereing의 약어로서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 디지털자산에 연동하여 그 디지털자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기 위해 발행한 증권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자본시장법상 증권을 블록체인 기술로 디지털화한 가상의 자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증권형 토큰에 대해 쉽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FT
NFT 증권형 토큰 STO

 

1. 증권형 토큰의 편의성

특정한 실물자산을 기반으로 하여 STO 토큰을 발행하면 관심있는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수하듯이 그 토큰을 구매할 수 있는데, 토큰을 발행한 주체를 통해서 토큰에서 발생한 부가가치 또는 수익을 배당 받을 수 있고 매도할 수도 있는 권리를 갖게 됩니다.

1.1. 간편성

증권형 토큰은 스마트 계약을 이용해 저비용으로 다양한 권리를 토큰 형태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 심사를 통과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1.2. 안정성

증권형 토큰은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로 이루어져 거래의 모든 기록이 위조할 수 없는 데이터 형태로 남아 안전한 매매가 가능합니다. 또한 증권형 토큰 시장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습니다.

1.3. 유동성 확보

증권형 토큰은 글로벌 시장에 접근하기 용이하고, 자산의 분할과 조합이 자유롭기 때문에 거래 유동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고가의 미술품이나 부동산 등의 비정형적 권리도 증권형 토큰으로 발행하여 소액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2. 증권형 토큰의 사례

2.1. 비트스탬프

유럽을 암호화폐 거래소로, 2016년에 뱅크투더퓨쳐 플랫폼을 통해 증권형 토큰으로 약 4.1백만 달러를 모금하였습니다.

2년 후 NXMH는 약 85배가 오른 350백만 달러에 비트스탬프를 인수하였습니다. NXMH는 넥슨의 창업자 김정주 대표가 운영하는 투자회사이기도 합니다. 

2.2. 스펜서 딘위디

NBA 선수로, 자신의 3년간의 연봉 3,500만 달러를 STO 토큰으로 발행하여 팬들에게 투자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선수가 '연봉을 증가하는좋은 플레이를 보여줄수 있는가'에 대한 투자기회는 프로 선수들의 수익 창출 방식을 혁신하는 사례로 평가되었습니다.

2.3. 카사코리아

부동산 증권형 토큰 업체로, 부동산에 대해서 증권형 토큰 투자를 지원하는 플랫폼입니다.

역삼 런던빌 빌딩을 토큰으로 발행 투자자를 모집하였으며, 최종 매각을 하여 배당 및 매각 차액으로 최종적으로 약 15%의 수익을 제시하였습니다. 소액의 STO 토큰 구매로 부동산의 일부를 소유하고, 매각시 차액에 대한 수익 확보는 상당 매력적으로 다가옵니다.

 

3.  증권형 토큰의 문제점

3.1. 유통의 한계

현재는 대중적으로 상용화 분위기가 아니라서 그런지 증권형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가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에 유통도 활발하지 않습니다. 또한 증권형 토큰은 국가별로 다른 법률과 규제를 따라야 하기 때문에 글로벌 시장에 접근하기 어렵습니다.

3.2. 규제의 불확실성

증권형 토큰은 증권성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모호하고 발행·유통체계가 미비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본시장법에 따른 증권의 발행 외에 다른 방식의 증권 발행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증권형 토큰의 법적 지위가 불분명하기도 합니다.

 

마치며

증권형 토큰은 현재 성장 단계에 있으며 앞으로 많은 변화와 발전이 기대됩니다. 금융 당국은 2023년 부터 증권형 토큰에 대한 상세한 세부지침을 발표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증권형 토큰은 미래의 금융 혁신으로서 주목받고 있으므로 관심 있게 지켜보셨으면 합니다.

댓글


네이버 애널리스틱스